시도 때도 없이 불어 닥치는 미세먼지 때문에 공기청정기에, 공기정화식물까지 필수품이 된 요즘이다.
하지만 친환경적인 공기정화식물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는 반신반의했던 것이 사실.
최근 농촌진흥청이 지난 4년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화분 3~5개면
실내 초미세먼지를 20% 가까이 줄일 수 있다고 발표했다.
공기정화식물의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된 것이다.
공기정화식물의 실제 미세먼지 제거 효과는?
농촌진흥청 연구팀은 챔버에 입자의 지름이 10㎍ 이하인 미세먼지(PM 10)를 공기 중으로 날려
3시간 둔 후 가라앉은 큰 입자는 제외하고 초미세먼지(PM 2.5) 300㎍/㎥ 농도의 밀폐된 방을 만든 뒤
한쪽에는 식물을 놓고, 다른 한쪽에는 아무것도 두지 않고 4시간 동안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조사했다.
4시간은 식물이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광합성 특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시간이다.

그 결과 미세먼지를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화 기기를 이용해 식물이 있는 방에서 초미세먼지가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.
특히 초미세먼지를 없애는 데 효과적인 식물은 잎 면적 1㎡ 크기의 식물이 4시간 동안 줄어든 초미세먼지 양을 기준으로
파키라(155.8㎍/㎥), 백량금(142.0㎍/㎥), 멕시코소철(140.4㎍/㎥), 박쥐란(133. ㎍/㎥), 율마(111.5 ㎍/㎥) 등 5종으로 확인됐다.
또 20㎡의 거실에 필요한 화분 개수는 순서대로 3.4개, 3.7개, 3.8개, 4개, 4.7개가 권장됐다.
연구팀은 미세먼지 저감 효율은 좋으면서도 시중에서 구하기 쉽고 실내에서 키우기 쉬운 식물로 선발했다고 밝혔다.
공기정화식물 효과, 화분 3~5개가 초미세먼지 20% 줄여
초미세먼지 ‘나쁨(55㎍/㎥)’인 날을 기준으로 20㎡의 거실에 잎 면적 1㎡의 화분 3~5개를 두면 4시간 동안 초미세먼지를 20% 정도 줄일 수 있다.
20㎡는 약 6평 정도로 대개 25평 아파트의 주방과 거실을 합한 면적이며, 면적 1㎡의 화분 크기는 식물 높이가 1m 정도이다.
연구팀은 생활공간에 공간 부피 대비 2%의 식물을 넣으면 12~25%의 미세먼지가 줄어들기에 기준을 20%로 잡고 적합한 식물 수를 조사했다고 밝혔다.
미세먼지를 줄이는 식물에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?
전자현미경으로 잎을 관찰한 결과, 미세먼지를 줄이는데 효율적인 식물의 잎 뒷면은 주름 형태였고,
보통인 식물은 매끈한 형태, 효율이 낮은 식물은 표면에 잔털이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.
잔털은 전기적인 현상으로 미세먼지 흡착이 어려운 것으로 추정된다.
미세먼지를 줄이는 식물 탑 5의 특징과 종류는 아래 기사를 참고 해주세요.
[출처] : https://www.hidoc.co.kr/healthstory/news/C0000457156 | 하이닥